크롬 라이트모드 사용해보기~
핸드폰(모바일)으로 크롬 브라우저 사용하는 경우 라이트 모드라고 있습니다. 이게 뭐냐면~ 모바일 데이터 사용을 줄여주는 기능이라고 보면 됩니다. 아무래도 핸드폰으로 데이터를 사용하다 보면 제한된 요금제로 인해 모바일 데이터를 아껴 쓰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크롬에서 라이트 모드를 사용함으로써 모바일 데이터를 아껴 쓸 수 있다는 거죠. 물론 데이터량에 신경 쓸 일이 없다면 넘어가도 되겠죠.
크롬의 라이트 모드는 모바일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목적이 데이터 절약이기때문에 안드로이드 핸드폰을 사용한다면 크롬 앱을 사용한다면~ 라이트 모드를 사용해볼 수 있습니다.
근데 어떻게 절약하냐! 설명을 보면 특정 웹페이지에 접속을 하게되면 해당 페이지의 트래픽을 자신의 핸드폰에서 바로 로딩하지 않고 그전에 구글 서버에 거치게 한답니다. 그래서 웹페이지가 좀 느리게 로딩이 된다면 구글 서버에서 해당 웹페이지의 트래픽을 줄여서 내 핸드폰에 받아지는 데이터량을 줄어들게 한다는 겁니다. 그런다고 달라지는 건 없고 웹페이지는 정상적으로 보여진다네요. 단지 모바일 데이터를 좀 줄여준다는 게 목적인 듯합니다.
설명을 보면 사용하는 요금제에서 모바일 데이터가 좀 아껴보자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사용해볼만 할겁니다. 실제로 어느 정도 절약되는지도 확인해볼 수 있더군요.
[크롬 라이트 모드 사용방법]
▷ 핸드폰(모바일 기기)에서 크롬 앱을 실행합니다.
▷ 실행 후 오른쪽위에 옵션 더보기(점 3개 아이콘)를 터치합니다.
▷ 목록에서 설정 선택합니다.
▷ 설정화면에서 아래쪽에 보면 라이트 모드라고 있습니다. 보통은 사용 안 함으로 되어 있습니다.
▷ 라이트 모드 설정화면에서는 사용함/사용 안 함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로 선택할 수 있고 아래에 설명을 읽어보시면 페이지가 더 빠르게 로드되고 데이터가 최대 60%까지 절약이 된다고 하네요. 수치로는 꽤 되는 거 같네요.
크롬이 구굴 서버를 사용해서 페이지를 더 빠르게 로드한다고 하고, 속도가 느린 경우는 페이지를 다시 작성해서 꼭 필요하다고만 판단되는 콘텐츠만 로드한다고 합니다. 단 시크릿 탭에서는 라이트 모드가 작동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 그럼 라이트 모드를 사용해봅니다. 그리고 절약된 데이터가 얼마인지 해당 화면해서 확인도 할 수 있습니다.
▷ 웹서핑을 하다보면 옵션 더보기에서 실시간으로 절약된 데이터를 확인해볼 수 있네요.
▷ 좀더 상세하게 보려면 설정에서 라이트 모드 화면에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날짜별로 데이터가 얼마 사용했고 얼마의 데이터가 절약되었는지 그래프로 보여줍니다. 그리고 아래에 보시면 사이트별로 데이터 사용과 절약 데이터를 확인해볼 수 있죠.
▷ 아래쪽에 통계 재설정을 선택하시면 방문한 사이트 목록일 비롯해서 데이터 절약 기록들이 삭제가 됩니다. 초기화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사용하는 요금제에 따라 유용하게 이용해볼만한 기능일 겁니다. 어느 정도 절약이 될지는 꾸준하게 사용해보면 알 수 있겠지만 크롬 앱에도 이런 기능도 있으니 데이터 때문에 마음 조리는 경우가 생긴다면 잘 활용해보면 어떨까 싶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