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B국민신용카드 KB Pay 챌린지카드 어떤 혜택이 있나?

카드를 신청할 때는 연회비나 발급 방식이 복잡할까 봐 조금 걱정했어요. 그런데 모바일 전용카드도 선택할 수 있고, 실물카드 역시 국내 전용이나 해외 겸용 등으로 다양하게 고를 수 있습니다.

 

평소에 간단한 앱 결제만 쓰시는 분들이라면 굳이 실물카드 없이도 발급이 가능하니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옵션을 고를 수 있다는 점이 좋을 겁니다.

 

 

 

포인트 적립 방식

특징은 KB Pay로 결제할 때마다 쏠쏠하게 포인트를 모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일상에서 자주 쓰는 온라인 가맹점이나 편의점, 카페 등에서 앱 결제를 할 때마다 일정 조건이 충족되면 포인트를 적립해주는 방식이라 적립 속도가 꽤 빠르게 느낄 수 있을 겁니다.

 

스탬프를 찍듯이 사용 횟수를 누적하면 일정 횟수마다 포인트가 적립되는 구조라 ‘도장깨기’ 같은 재미가 있습니다. 게다가 포인트가 한 달에 여러 번 쌓이기도 해서 소소하게라도 자주 받을 수 있다는 게 장점입니다.

 

 

출석체크 개념도 있어서 일주일 내내 매일 한 번 이상 KB Pay를 이용하면 추가로 포인트가 적립되는 이벤트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일단 평소 배달 앱이나 간단한 간식 구매 등에 모바일 결제를 자주 쓰다 보면 자연스럽게 그 조건을 달성하게 됩니다.

 

스탬프형 적립 (KB Pay 결제 3회당 1,000점)

  • 적립 조건: KB Pay로 결제한 건이 각 1만 원 이상이어야 하며 같은 가맹점에서는 하루에 한 번만 카운트됩니다.
  • 혜택 내용: 조건에 맞는 결제가 3건 누적될 때마다 포인트리 1,000점씩 쌓입니다.
  • 월 적립 한도: 한 달 동안 최대 5만 점까지 적립 가능합니다.
  • 적립 주기: 매달 마지막 토요일 기준으로 산정 기간을 끊어, 그다음 달 25일경 한꺼번에 적립됩니다. 예를 들어, 5월 마지막 토요일 다음 날부터 6월 마지막 토요일까지의 실적은 7월 25일에 모아서 적립된다는 식입니다.

 

 

결제 이후 취소가 접수된 건은 적립 건수에서 제외되고 해당 이용일에는 다시 적립 조건을 채우기 어려울 수 있으니 신중하게 결제 내역을 확인하는 편이 좋습니다.

 

 

주 단위 출석체크 적립 (주 1,000점)

  • 적립 조건: 일요일부터 토요일까지 7일간 매일 한 번씩 KB Pay로 1만 원 이상 결제를 하면 출석체크 개념으로 1,000점이 추가 적립됩니다.
  • 적립 시기: 이 역시 매달 25일에 일괄적으로 들어오는데, 전 달에 달성한 주별 실적을 모아서 적립해 주는 방식입니다.

 

중간에 결제를 취소하거나 하루라도 누락되어 7일 연속 이용 기록이 깨지면 해당 주의 포인트는 받을 수 없습니다.

 

 

적립 제외 항목

정부나 공공기관에 납부하는 세금, 공과금(전기/수도), 아파트 관리비, 초·중·고등학교 등록금, 상품권·기프트카드 구입·충전 등은 적립 혜택에서 제외됩니다. 이 부분은 다른 카드들도 비슷한 편이니 세금이나 상품권 구입에 대해서는 포인트가 쌓이지 않는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월간·주간 한도 관리 팁

  • 월간한도: 한 달에 최대 5만 점까지 받을 수 있으니, 그 범위 내에서 결제 습관을 조절하는 것도 좋습니다.
  • 주간 체크(출석체크 적립): “일주일 내내 앱 결제 한 번 이상”을 놓치지 않는다면, 매달 많게는 4,000점(주 1,000점 × 4주)을 더 챙길 수 있지요.

 

이 두 가지 적립이 동시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평소에 모바일 결제를 자주 쓰시는 분들은 실적이 쑥쑥 늘어날 수 있습니다.

 

 

연회비 정보

KB Pay 챌린지카드는 국내 전용, 해외 겸용(Master, K-WORLD 등) 그리고 모바일 단독카드 형태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국내 전용: 1만 5천 원 (기본 7천 원 + 제휴 8천 원)
  • 해외 겸용(Master, K-WORLD 등): 국내 전용과 같은 금액 구조이지만 해외 가맹점 결제 기능이 추가되어 국제 결제가 가능합니다.
  • 모바일 단독카드: 9천 원 (기본 1천 원 + 제휴 8천 원), 실물카드가 없어서 휴대폰 앱으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가맹점 중 일부(카드 실물을 요구하는 매장)나 해외 현장 결제는 제한될 수 있으니 완전히 카드 없이 다니길 원하시는 분들은 이용 가능한 매장을 미리 확인해 보는 게 좋겠습니다.

 

적립 조건이 건당 1만 원 이상이니 이를 고려해 일상 지출 패턴을 점검해 봅니다. 어느 정도 꾸준한 결제가 가능한 분에게 유리합니다. 주 7일간 앱 결제를 매일 꾸준히 할 수 있다면 추가 포인트를 챙기기 쉽습니다.

 

연회비 대비 이득인지 계산하기, 직접 예상 소비금액으로 한 달에 얼마나 적립이 가능한지 그리고 연회비가 얼마인지 비교해 보고 발급받으시면 더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

 

KB Pay를 자주 쓰지 않으면 생각보다 적립을 못 받을 수 있으니 쇼핑이나 음식점, 카페, 배달 앱 등에서 가능하다면 KB Pay 결제를 우선 사용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겁니다.

반응형